4·3평화기념관

상설전시실 안내도

제1관 역사의 동굴(프롤로그)

제주4·3의 전 기간을 통하여 화산섬 제주도의 중산간 지대에 산재한 천연동굴들은 주민들에게는 천혜의 피신처로 활용되었다.
동굴을 모티브로 한 전시관으로 통하는 긴 터널은 4·3의 역사를 찾아가는 여정의 첫 관문이기도 하다. 이는 오랫동안 지하에 묻혀 있던 역사적 진실을 찾아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터널을 지나면 원형의 천창 아래 누워있는 ‘백비(비문 없는 비석)’를 만나게 된다. 4·3은 아직도 정명(正名)되지 못한 역사이기 때문이다. 4·3의 진정한 해결이 이루어지는 날, 비로소 비문이 새겨질 것이며, 누워 있는 비석도 세워질 것이다.

VR 보기

제2관 흔들리는 섬(해방과 좌절)

‘전쟁-해방-자치-미군정-3·1발포 사건-탄압’의 순서로 전개된다.
해방 이후 제주도민은 자치를 시행해나가지만 3·1절 기념대회에서 민간인 6명이 경찰의 총격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이를 계기로 제주도민과 미군정의 갈등과 대립이 본격화되면서 1948년 4월 3일의 무장봉기의 상황으로 치닫는다.

VR 보기

관련 영상보기

제3관 바람타는 섬(무장봉기와 분단 거부)

1948년 4월 3일 새벽에 일어난 무장봉기의 발생 과정과 배경을 보여준다.
향후 초토화 작전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5·10단선·단정반대사건을 중심으로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이해할 수 있게 연출되었다. 이 공간에는 오름을 상징하는 중앙부와 오름 위의 상황을 묘사한 강요배 화백의 그림이 전시되어 있다.

VR 보기

관련 영상보기

제4관 불타는 섬(초토화와 학살)

초토화 작전과 민간인 대량학살, 그 이후 한국전쟁 기간 형무소 재소자 학살까지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4·3사건 희생자의 80% 이상은 이때 희생된다. 원통형의 하얀 방, 벽에는 죽음의 다양한 형상들이 하얀 붕대로 둘러싸인 부조물로 표현되어 있다.

VR 보기

관련 영상보기

제5관 평화의 섬(후유증과 진상규명 운동)

복구와 정착 그리고 후유증, 진상규명운동으로 나누어 4·3의 상처와 아픔, 그 회복과정을 보여준다. 진상규명에 대한 끊임없는 요구는 오랜 기간 도민의 투쟁에 의해 2000년 1월 「4·3특별법」이 제정됨으로써 그 결실을 맺었다. 이 공간에는 4·3 진상규명을 위한 다양한 역사적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VR 보기

관련 영상보기

제6관 에필로그

제주사람들은 4·3의 역사적 상처를 화해와 상생의 정신으로 풀어가고 있다. 이곳은 4·3의 아픈 기억을 통하여 평화와 인권의 소중함을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공간이다. 맨 끝의 출구 통로에는 4·3희생자들의 사진이 걸려있다. 이 공간은 희생자를 기리는 한편 어두운 터널에서 다시 광영천지로 빠져나오는 재생의 공간이기도 하다.

해원의 폭낭

제주의 마을 어귀에는 언제나 정자목이 있어서 지나는 이들을 반긴다. 또한 제주의 마을에는 팽나무가 주종을 이룬 공동체 신앙의 본산인 ‘본향당’이 있다. 이 공간은 이런 마을의 공동체적 만남과 해원의 신목을 동시에 상징하는 장소이다.

VR 보기

다랑쉬 특별전시관

1948년 11명의 민간인이 토벌대에 의해 질식사한 동굴 현장을 발굴 당시 그대로 재현하였다. 긴박했던 피난 생활과 당시의 학살 상황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동굴의 가운데를 절개하여 드러내 놓은 연출로 만나는 내부는 발굴 당시의 상황을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VR 보기